_대문 | 방명록 | 최근글 | 홈피소개 | 주인놈
FrontPage › 논리학

Full text search for "논리학"

결과가 맘에 안드시면 구글 검색을 이용하세요.
생각보다 잘 찾아줍니다!!

Loading
  • Philosophy . . . . 1 match
          * [논리학]
  • 개체집합을도출하는방법 . . . . 1 match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에서 ‘horos(사물의 끝 •경계)’를 삼단논법과 비례식의 유추(類推)로부터 사물의 본질을 깊이 규정하고 그 능력 •성질을 한정하는 울타리라는 뜻으로 사용하였다. 이것이 보에티우스에 의해서 ‘terminus’로 번역되어 전통논리학에서는 범주적 명제(範疇的命題)의 주어 •술어를 가리키게 되었다. 그러나 주어나 술어는 필연적으로 언어표현을 하기 때문에 차차 이름(name)이나 단어(word), 특히 명사(名詞: noun)와 구별이 없어져 마침내는 결합사적(結合詞的)인 단어(and, if 등)까지를 가리키게 되었다. 그 한 가지 예가 삼단논법의 대개념 •중개념 •소개념이 대명사(大名辭) •중명사 •소명사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새벽의 명성(明星)과 초저녁의 명성이 같은 금성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개념의 뜻은 외연(外延)과 내포(內包)를 가지고 있고, 더욱이 이것들이 언어적 기호로 표시되므로 개념과 기호는 구별해야 한다.||
  • 논리학 . . . . 8 matches
         #title 논리학
         논리학 - 추론의 타당성/부당성을 밝힘
          * 논증의 타당성 -> 논리학의 대상(필연성)
          * 논리학은 심리학이 아님. 마음에 의존하지 않지만 마음을 강제함.
          * 논리학은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 논리학의 영역
          * 필연에 대한 학문이 아님. 필연에 대한 학문은 수학, 논리학 2개
          * 형식 논리학
  • 집합적사고방식 . . . . 1 match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에서 ‘horos(사물의 끝 ·경계)’를 삼단논법과 비례식의 유추(類推)로부터 __사물의 본질을 깊이 규정하고 그 능력 ·성질을 한정하는 울타리라는 뜻__으로 사용하였다. 이것이 보에티우스에 의해서 ‘terminus’로 번역되어 전통논리학에서는 범주적 명제(範疇的命題)의 주어 ·술어를 가리키게 되었다. ''--네이버 백과사전''||
  • 형이상학-아리스토텔레스 . . . . 4 matches
         Organon의 구성(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적 저술)
          * 증명의 원리(인식)를 다루는 것이 이 학문의 과제인가? (논리학의 3대 법칙: 모순율, 배중률, 동일률)
          * 어떤 사람들은, 논리학을 잘 모르고 모순율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지식부족으로 말미암아 모순율과 같은 원리마저도 증명하라고 한다. 이렇듯 어떤 것에 관하여 증명을 구해야 하며 어떤 것들에 관하여 구해서는 안 되는지를 알지 못하는 것은 논리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탓이다.
Found 5 matching pages out of 1784 total pages
ShowPage : Print : Mobile : FindPage : Powered by MoniWiki : Last modified 2018-04-13 23:12:52

남이 나를 인정해주지 않음을 걱정할 것이 아니라 내가 남을 이해하지 못할까를 걱정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