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범주론 [[TableOfContents]] 문서 작성 중.. ==== 1장 한 이름 다른 뜻인 것들, 한 이름 한 뜻인 것들, 갈려 나온 것들 ==== '''한 이름 다른 뜻인 것들''' 이름만 같이 갖고 그 이름이 따르는 뜻이 다른 것들(동음이의)을 말한다. 여기서 ‘뜻’은 ‘있음’을 의미하는데, ‘있음’은 다양한 사물을 정리, 분류한 기본 ‘틀’이나 ‘축’, ‘테두리’쯤으로 보면 된다. 존재적 관계는 없다. '''한 이름 한 뜻인 것들''' 이름을 같이 갖고 이름에 따르는 뜻도 같은 것들(동음동의)을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동음동의어를 각각의 사물들의 상위개념을 말한다. 즉, ‘사람’과 ‘소’가 모두 ‘동물’이라는 상위개념으로써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즉, ‘사람’과 ‘소’는 ‘동물’의 부분집합이다. ‘사람’과 ‘소’에 대한 각각의 뜻(있음)을 말할 때 그것들이 각각 동물로서 갖는 본질이 무엇인지 말할 때, 같은 뜻을 말할 것이기 때문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사람’과 ‘소’를 동물의 범주에서 이야기 할 때는 각각을 ‘동물’로 이야기 할 수 있지만, ‘직립보행’의 범주에서 이야기 할 경우는 한 이름 한 뜻이 될 수는 없다. 존재적 관계가 있다. '''갈려 나온 것들''' 다른 어떤 것의 이름으로부터 어미만 좀 다르게 이름이 붙여진 것들(파생)을 말한다. 존재적인 의존성이 언어적인 파생관계에 드러난다. 다음의 그림을 보자. attachment:범주론/categoriae1.jpg ‘문법학자’와 ‘용감한 사람’을 ‘사람’의 부분집합으로 표현했지만, 어떤 사람이 문법학자이며 용감한 사람인지 기준이 모호하므로 이런 예는 ‘집합’으로 이야기 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하지만 절대적인 어떤 기준이 있다고 가정했을 경우 ‘사람’과 ‘문법’, ‘사람’과 ‘용감’은 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무나 ‘문법학자’가 될 수는 없으며, ‘용감한사람’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존재적 의존성을 가진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 2장 바탕이 되는 것 ==== ‘바탕이 되는 것’은 ‘주어’를 말한다. 말들 가운데 어떤 것들은 결합되어 말해지며, 어떤 것을 결합되지 않고 말해진다.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는 결합되어 말해진 것이며, ‘소크라테스’, ‘사람’은 결합되지 않고 말해지는 것들이다. 술어(..이다)에 자리에 올 수 있는 말들은 주어(바탕이 되는 것)에 대해 말해지지만, 주어의 범주에 속하지는 않는다. 즉, 소크라테스는 사람이지만, 사람이 소크라테스의 범주에 속하지는 않는다. 부분집합이 될 수 있는 규칙 attachment:범주론/categoriae2.jpg 1. A는 B의 일부가 아니어야 한다. 2. A의 존재여부는 B에 달려 있어야 한다. 어떤 것들은 주어가 술어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문법지식은 바탕이 되는 것, 즉 머리(마음)속에 들어 있지만 특정 ‘문법지식’과 ‘머리’는 각각 어떤 일부에 속하지는 않으나 각각이 존재여부는 의존적이지 않다. 또 ‘오렌지는 노란색이다’에서 ‘노란색’은 어떤 물체속에도 존재할 수 있으며, ‘오렌지’에 대해서는 말해지지 않다. 즉, ‘오렌지’는 ‘노란색’의 부분집합이 될 수 없다. 또 다름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의 수염안에 특정한 흰색이 들어 있을 수 있지만 그 특정 흰색은 소크라테스에 대해 말해질 수는 없다. 즉, ‘소크라테스는 특정 흰색이다’라고 말 할 수는 없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러한 것을 ‘속성’이라고 이야기한다.) 다음은 바탕이 되는 것에 대한 정리 표이다. ||구분||예||A||B|| ||일반적, 실체적인 것||사람(꼴), 동물(무리)||O||X|| ||개별적, 비실체적인 것||특정 색, 특정 학문||X||O|| ||일반적, 비실체적인 것||색(꼴), 학문(꼴)||O||X|| ||개별적, 실체적인 것||특정 사람, 특정 말(언어)||X|| X|| * A: 바탕이 되는 것에 대해 서술됨(실체) * B: 바탕이 되는 것 안에 들어 있음(속성) * 개별적, 실체적인 것은 ‘인스턴스’라고 보면 된다. '''실체의 파악''' * 재료는? * 어떤 형상(꼴)인가? * 무슨 목적으로 존재하는가? * 예: 맥주잔 * 유리로 되어 있다. * 맥주를 따라 마시기 좋게 생겼다. * 공장의 노동자들이 만들어 놓아 있게 되었다.(어떤 조건으로 말미암아 있(게 되어)다. * 술을 따라서 마시도록 우리 앞에 놓여있다. ==== 3장 서술관계 ==== '이재학'은 '사람'이고, '사람'은 '동물'의 범주에 속한다. 하지만 사람과 동물과 같이 상하관계가 없는 것들은 차이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상하관계가 아닌 동물의 하위 개념으로 뭍짐승, 날짐승, 물짐승을 차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동물은 뭍짐승, 날짐승, 물짐승에 대해서 서술된다. ==== 4장 범주들의 열거와 명제 ==== * 실체(있는 것) * 양(얼마만큼) * 질(어떠함) * 관계(어떤 것에 걸림) * 장소(어디에, 어느곳) * 시간(언제, 어느때) * 자세(어떻게 있음) * 소유(가짐) * 능동(입힘, 가함) * 수동(입음, 당함) ==== 5장 실제(있는 것) ==== * 제 1 실체(개체) * 제 2 실체(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