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용어정리
[[TableOfContents]]

==== BI(Business Intelligence) ====
 * BI란, 기업을 똑똑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 조직의 체계적인 관행 ====
 * 끊임없는 개선을 해야 한다.
 * 지식 활용 방법을 배워야 한다.
 * 체계적인 혁신 방법을 배워야 한다.
 * 조직의 분권화는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다. 

==== 지식노동 ====
지식 노동의 생산성 향상
 * 해야 할 과업은 무엇인가?
 * 우리는 무엇을 수행하려하는가?
 * 왜 그것을 해야 하는가?
 * 우리는 무엇에 대하여 봉급을 지불하는가?
 * 이 직무는 어떤 가치를 창출하기로 되어 있는가? 
지식노동의 범주
 * 분석해야 할 일
 * 개선해야 할 일
 * 변화시켜야 할 일 

==== SKU(Stock Keeping Unit) ====
 * SKU(Stock Keeping Unit)이란, 최소유지상품단위를 의미. 즉, 유통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관리하는 최소단위를 정해놓은 것.

==== GRC(Governance Risk and Compliance) ====
 * Governance - 조직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C-Level의 임원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중요시하는 통제 방법. 정책과 프로세스를 통한 지속적인 조직의 개선활동을 포함
 * Risk Management - 프로세스를 통하여 위험에 대한 발굴, 혹은 잠재적 위험인 인지,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등을 기반으로 내부 통제와 조직의 위험을 완화하는 업무 수행 체계
 * Compliance- 컴플라이언스는 프로세스다. 이 프로세스는 통제와 관리를 목적으로 하며, 논리적이거나 물리적인 법규나 규범을 통하여 내부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 http://blog.daum.net/doublej07/8687878
 * http://blog.naver.com/orapybubu?Redirect=Log&logNo=40054367660
 * http://coderant.egloos.com/5152598

==== 마이크로 배치(micro-batch) ====
변경되는 정보만을 지속적으로 통합

==== BI의 4P ====
 * Performance(실적)
 * People(인적자원)
 * Process(프로세스)
 * Platform(플랫폼)

성공적인 BI를 위해 4P의 균형적인 접근이 필요

==== caveat emptor ====
카베앗 엠토르.
위험은 구매자가 진다는 라틴어 격어

==== 주제영역(subject area) ====
논리적으로 관련된 데이터의 고유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단위 영역으로 데이터가 그룹화 될 필요가 있으며, 이 그룹화된 영역을 주제영역이라고 한다. 
 * 고객, 상품, 조직, 거래 -> O
 * 재무, 영업, 생산, 물류 -> X
주제영역은 고유하게 통합되어 있어야 한다. 즉, 영업의 '고객'과 물류의 '고객'과 같이 다른 관점이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