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자산관리 [[TableOfContents]] '''가난엔 이자가 붙는다.''' '''실제 위험은 지불한 가격에 좌우된다.''' ==== 지수 ==== * [https://www.longtermtrends.net/market-cap-to-gdp-the-buffett-indicator/ 버핏지수] * [https://money.cnn.com/data/fear-and-greed/ 공포지수] ==== 스마트베타 ==== http://webzine.miraeassetdaewoo.com/bbs/board.php?bo_table=MD22&wr_id=1 attachment:자산관리/smart_beta_factor.png ==== 투자, 투기 그리고 켈리 공식 ==== 20200808 기록 레버리지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는 것은 어떨까 생각을 했다. 포트폴리오를 레버리지로 운용했을 때 주의할 점은 변동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위험하단 얘기다. 블랙스완이 오면 계좌가 녹는다고 한다. 물론 수수료도 비싸다. 리밸런싱 주기도 짧게 가져가야 한다. (그 만큼 신경을 더 써야 한단 얘기) 그럼 왜 하냐? 수익률이 더 좋기 때문이다. 이 도박에 현금을 100% 넣으려니 불안했다. 그래서 어느 정도 현금을 가져가야 마음도 편하고, 리밸런싱도 편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처음에는 현금 비중을 10%, 20%, 30%, 40%, 50% 이렇게 조절하면서 백테스트 했다. (여기서는 비율이 아니라 비중으로 하자. 내 맘속에 그것이니..) 현금 비중을 많이 들고가면 수익이 적은 것 같고, 현금 비중을 적게 들고가면 불안했다. 도대체 내가 가진 현금 중 그 도박에 얼마를 걸어야 하나? 이 질문에 켈리라는 사람이 켈리 공식으로 답을 해주었다. (켈리는 정보이론으로 유명한 섀넌의 동료였다고 하고, 섀넌의 균등복원 포트폴리오에 영감을 받아다고 함) 켈리 공식은 다음과 같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061474&memberNo=5010025&vType=VERTICAL 여기]를 참고 하자) k(%) = 성공률 - (실패율/(수익/손실)) 이다. 리밸런싱은 매월로 하고.. 성공률은 매월 수익이 나면 성공한 것으로 해서 수익률을 구했다. 수익과 손실은 백테스트 해서 매월 수익율과 손실률의 평균을 구해서 수익/손실 비를 구했다. 그래서 계산해보니 배팅 규모는 약 40%가 나왔다. 처음에 내가 가진 현금 중 80%를 배팅하는 것으로 맘먹고 실행에 옮기고 있었다. 그런데...이게 계속 왠지 모르게 마음이 불편했다. 권위와 수학의 힘을 빌려 베팅 규모를 결정하니 맘이 꽤 편해졌다. 20200810 기록 현금 대신 단기채와 같은 것을 들고 가면 어떨까? 쓸대 없는 생각하지 말고, 하던거나 잘해라가 결론이다. 블랙스완에 대비할 수 있고, 매우 싸진 자산을 살 수 있는 기회에 대한 비용으로 생각하면 현금을 그냥 들고 있는 것은 좋은 투자라고 할 수 있다. 괜시리 수수료만 나가지.. ==== 환율 ==== * 부의 대이동, 오건영 의 내용을 정리 함 * 환율은 달러/원 환율을 말함 ===== 환율 ===== * 대외적인 돈의 값 * 1200 달러/원 -> 기준이라고 생각하고.. * 1500 달러/원 -> 달러 가치 상승, 원화 가치 하락 * 1000 달러/원 -> 달러 가치 하락, 원화 가치 상승 ===== 환율의 상승과 하락 ===== * 상승: 달러가 우리나라를 빠져 나갈 때 * 무역 적자, 수출이 안되면 달러 유입이 줄어듦, 원자재 값이 많아 오를 때 * 세계 경기 나쁨(우리나라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데, 해외 물건을 못팔면 달러 유입이 줄어듦) * 외인들이 주식을 팔 때 * 하락: 달러가 우리나라에 들어 올 때(달러 공급이 많아짐) * 무역 흑자, 수출이 잘되면 달러 유입이 많아짐 * 세계 경기 좋음 * 외인들이 주식을 살 때(달러를 팔고, 원화로 주식을 산다) ===== 환율과 자산의 관계 ===== * 환율과 인플레이션은 양의 상관 관계 * 환율과 주가는 음의 상관 관계 * 환율과 채권은 음의 상관 관계 * 환율과 부동산은 음의 상관 관계 * 채권을 사기 위해 달러를 원화로 교환 -> 달러 공급이 많아짐 -> 환율 하락 -> 채권 가격 상승 = 금리 하락 -> 금리가 하향 안정화 -> 부동산 상승 ===== 환율과 인플레이션 관계 ===== * 인플레이션 -> 물가 상승 -> 돈 가치 하락 * 디플레이션 -> 물가 하락 -> 돈 가치 상승 환율이 상승(1200달러/원에서 1500달러/원이 되었다면)하면 원화가치 하락한 것 인플레이션은 돈 가치 하락한 것 그러므로 환율 상승과 인플레이션 양의 상관 관계 ===== 환율과 주가 ===== * 외인들이 주식을 팔 때(주식을 팔아 원화를 받고, 달러로 교환) -> 환율 하락 * 외인들이 주식을 살 때(달러를 팔고, 원화로 주식을 산다) -> 환율 상승 환율과 주가는 음의 상관 관계 ===== 금리 ===== * 상승 * 기준금리 인상 * 대규모 국채 발행(시중 자금을 빨아들임) ==== 돈 버는 사람, 돈 잃는 사람 ==== * 돈 버는 사람: 투자 원칙이 있는 사람 & 원칙을 지키는 사람 * 돈 잃는 사람: 투자 원칙이 없는 사람 | 원칙을 지키지 않는 사람 ==== 자산, 경제, 물가 ==== 기대치 보다 경제, 물가가 상승/하락 했느냐의 문제 attachment:자산관리/asset.png ==== 돈과 뇌 ==== * 돈을 얻으면 측좌핵이 활성화되어 도파민이 뿌려진다(생존에 꼭 필요한 일을 한 것처럼 뇌가 상을 준다) * 돈을 잃으면 편도체가 활발해져 공포의 신호를 만들어 낸다. (공포는 모든 이성을 마비시킨다) ==== 해외 주식 세금 ==== * 해외 주식은 양도소득세 의무신고 대상 * 1년동안 손익을 합산해 세금 부과 * 250만원을 공제한 후 22%가 양도세(1000만원 매매 차익이면 250만원 제외한 750만원에 대한 22% 세금)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5월에 한 번만 신고 * 환율: 양도차익은 결제대금이 계좌로 입금되거나 출금되는 날의 환율을 적용 * 해외주식으로 배당금을 받은 경우에는 배당소득세를 내야함 '''절세 방법''' 증여 * 부부간에는 10년간 6억, 성인 자녀는 5000만원, 미성년 자녀는 2000만원까지 증여세 없이 주식증여가 가능 * A주식을 1억원에 취득해 평가금액이 5억이라면 8,800만원이 양도세다. * 주식 증여하고, 5.5억되었으면 0.5억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면 된다. * 주식의 경우 증여일 전후 2개월 종가평균이 증여세 과세기준인 증여가액 250만원 공제 활용 * 500만원 차익이라면 12월, 1월에 반씩 매도하면 세금 없음 * 미국·독일·영국·캐나다는 매도 결제일이 T+3일(연말에 주의) 혼합 매도 전략 * 연말에 수익난 종목과 손해난 종목을 연말에 함께 매도하여 연간 수익을 낮춤(매도 결제일이 T+3일임을 주의) * A종목 +3000, B종목 -3000이면 함께 판다. -> 자산 배분을 잘 해놨으면 어차피 리밸런싱할 것이므로 세금을 줄이는 것이 유리한 경우에 실행 ==== 강세장과 약세장 그리고 동적자산배분? ==== 약세장 * 희망의 벽을 타고 내려간다 * 각종 호재에도 하락 * (약세장 지속되면) 증권가에서 상승의 희망을 주는 전망이 나오기 시작함 강세장 * 우려의 벽을 타고 오른다 * 각종 악재에도 상승 * 상승 초기에는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주가가 어느 정도 오르면 낙관적인 전망들을 내놓기 시작(투자자가 몰리면 강세장 끝) * 강세장은 비관 속에서 태어나 회의 속에서 자라며 낙관 속에서 성숙해 행복 속에서 죽는다. --존 템플턴 개인적인 생각 * 강세장에는 주식 비중을 높이고, 약세장에는 채권 비중을 높인다? --> NO! * 리밸런싱 --> YES!! 섀넌의 도깨비(shannon's demon)가 방망이를 두들겨 줄 것이다!!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려면? ==== 2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조건1: 돈이 풀려야 한다. * 조건2: 풀린 돈이 돌아야 한다. --> [https://fred.stlouisfed.org/series/M2V Velocity of M2 Money Stock] *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돈이 많이 풀렸는데, 큰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음. * 왜냐하면 돈이 안돌았기 때문 * 그 돈들은 어디에 갔나? 부자들의 곳간에.. ==== 인플레이션 ==== 개요 * 인플레이션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것을 말함 *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100원에 2개였던 사탕이 100원에 1개가 되는 것) * 물가가 지속적으로 내려가는 것은 디플레이션이라고 함 * 하이퍼인플레이션: 비정상적으로 물가가 많이 상승하는 현상 * 스태그플레이션: 높은 실업률과 경기침재를 동반한 인플레이션 * 물가가 오르면 구매력이 떨어짐(상품이나 서비스가 비싸짐) * 물가가 떨어지면 기업의 이익이 줄고 자연히 가계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소비도 줄어드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 중앙은행이 인플레를 막기 위해 취하는 정책(금리 인상)이 자산가격에 영향을 끼침 원인 * 시장에 돈이 많이 유통됨(생산량보다 돈이 더 많이 풀려 상품 가격이 상승) * 화폐공급량이 많다고 갑자기 화폐공급량을 줄이면(금리를 올리면) 주가 폭락, 기업들은 자금난을 겪게됨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성장하는 경제에서 발생 *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수요가 늘어나고 비용이 올라가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인플레가 지속되는 특징 자산 * 현금 * 인플레이션 발생시 최악 * 채권 * 인플레이션 발생시 금리 상승 * 금리 상승하면 채권 가격 하락 * 주식 * 원자재값이 오르면 상품 가격을 올리고 순이익 증가 * 제러미 시겔 교수는 “장기적으로 주식이 물가상승에 대해 매우 좋은 헤지 수단이 될 수 있다”, "급격한 인플레에도 대응" * 단기적으로 악영향 끼칠 수도 있음 * 금 * 경제 상황이 어려워지는 시기에는 그 가치가 급격하게 상승 * 화폐처럼 갑작스럽게 공급을 늘릴 수 없기 때문에 금은 항상 인플레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 * 인플레가 크게 일어나면 실질금리는 마이너스(현금, 채권 보유자는 손해) * 금 가격 변동성이 매우 큼(거품이 있음) 2001년 이후 국내CPI와 자산 수익률과의 상관계수 * 원자재: 0.48(에너지 0.5, 귀금속 0.55) * 단기 채권: 0.66 * 물가연동채: 0.62 * 주식: -0.08 --출처: https://file.truefriend.com/Storage/research/research02/201701_Inflation_Hedge_Final.pdf 인플레이션 헷지 * 단기: 원자재, 물가연동채 * 중기: 단기 채권 * 장기: 주식 ==== 버냉키(Fed 전의장)의 2020년 코로나19 정리 ==== * 2008년에는 금융시스템이 실물경제에 영향을 줬다. * 2020년에는 실물경제가 금융시스템에 영향을 줬다. (코로나19로 인한 셧다운) * 결국은 코로나19를 어떻게 얼마나 빨리 잡느냐의 문제다. * 의료 기관에서 코로나19 환자들을 받아낼 수 있는 상태에서 셧다운 해제해야 한다. * 잡힌다고 가정하면 셧다운 하는 기간동 기업, 노동자가 살아남게 해줘야 한다. (정부와 Fed의 역할) ==== 전망이론(Prospect theory) ==== * 합리적 기대 효용 이론이 들어맞지 않는 심리학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 * 인간은 합리적이다(X) --> 인간은 비합리적 * 손해를 보면 인간은 나도 모르게 비합리적 행동을 취한다. * 대니얼 카너먼 교수의 대표적 이론(2013년 노벨경제학상 수상) ===== 예제1 ===== A. 동전 던지기로 앞면 100만원, 뒷면 -50만원의 경우 B. 게임을 하지 않으면 그냥 20만원 획득 * A의 경우(100 × 0.5)+(-50 × 0.5) =기대이익 25만 원 * B의 경우(20 × 1.0)+(0 × 0) =기대이익 20만 원 대부분의 사람들(한국 제외)은 위험이 적고, 확실한 편을 선택한다 -> B선택 기대이익은 A가 더 많음 ===== 예제2 ===== 현재 100만원 손해다. A. 동전 던지기로 앞면 70만원, 뒷면 -90만원의 경우 --> 기대이익 -10만원 B. 게임을 하지 않으면 그냥 10만원 획득 현재 100만원 손해인 상황에서 10만원 획득한 경우와 손해가 없는 상황에서 10만원 획득의 심리 상태는 매우 다르다. 이 상황에서 A를 선택하는 비합리적인 경우가 나타날 수 있다. 과거에 실패 등이 현재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주는 성크 코스트 효과(매몰 비용)라고 한다. ===== 가치 함수 ===== * 100만원 이익이 주는 만족감이 1이라면 * 100만원 손실이 주는 실망감은 약 2.4이다. attachment:prospect_theory.png --https://en.wikipedia.org/wiki/File:Loss_Aversion.png ==== 포트폴리오 ==== ALL SEASONS PORTFOLIO * 30% Total Stock Market * 40% Long Term Bonds * 15% Intermediate Bonds * 7.5% Commodities * 7.5% Gold NO-BRAINER PORTFOLIO * 25% Large Cap Blend * 25% Small Cap Blend * 25% International Stocks * 25% Short Term Bonds GOLDEN BUTTERFLY * 20% Total Stock Market * 20% Small Cap Value * 20% Long Term Bonds * 20% Short Term Bonds * 20% Gold attachment:자산관리/portpolio_allocations.PNG attachment:자산관리/portpolio_returns.PNG attachment:자산관리/portpolio_returns_2.PNG ==== 순환 투자 ==== 고금리기(채권) → 기업리서치 열중(주식매수 대기) → 저금리 돌입(채권매각·주식매입) → 불황・저금리기(주식 대량매입) → 경기과열기(주식보유 및 매도) → 금리반등 시도기(MMF 등 단기운용) attachment:자산관리/코스톨라니의달걀.jpg https://www.google.co.kr/url?sa=i&url=https%3A%2F%2F1boon.kakao.com%2Fonland%2F5d8060eb8122143f674989a6&psig=AOvVaw08d40VaodYdB35nSDJjOdh&ust=1581636113362000&source=images&cd=vfe&ved=0CA0QjhxqFwoTCMCEpOuTzecCFQAAAAAdAAAAABAD ==== 현금흐름표 ==== 영업활동현금흐름 + 영업활동으로 돈이 들어옴 - 영업활동으로 돈이 지출됨 투자활동현금흐름 + 투자에 지출한 비용 < 투자로 번 돈 - 투자에 지출한 비용 > 투자로 번 돈 --> 향후 성장을 위한 투자(과하면 안됨) 재무활동현금흐름(음/양에 상관없이 숫자가 작은 것이 좋음) + 조달한 현금 > 부채를 상환한 현금 --> 현금 조달이 어려워 차입금, 사채, 주식 발행등을 통해 조달 - 조달한 현금 < 부채를 상환한 현금 --> 영업활동, 투자활동 후 남은 현금을 차입금 및 사채 등에 상환 ==== [http://kostat.go.kr/survey/hopas/index.action 가계금융, 복지조사] ==== 2016년 * 가구당 평균 자산 3.6억 * 전년대비 4.3%증가 * 금유자산 26%, 실무자산 74% * 가구당 평균 소득 0.48억(세금, 공적연금 제외한 가처분 소득은 0.4억) * 가구당 평균 부채 0.66억 * 전년대비 6.4% 증가 * 연령대 50대 가구 0.83억 부채 * 자영자 0.98억 부채 * 가구주 평균 은퇴 나이 66.9세 * 50%는 노후 준비가 잘 안됨 * 노후를 위한 준비상황이 잘 돼 있다 -> 8.8% * 잘 돼 있지 않다 --> 37.3% * 전혀 준비가 안 돼 있다 --> 19.3% * 실제 은퇴는 61.9세 * 가구주 최소 생활비는 183만원, 적정 생활비는 264만원 *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전국 약 2만가구 대상으로 조사 ====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 * http://finlife.fss.or.kr/ ==== 중도상환수수료 ==== * 중도상환수수료 = 중도상환액 x 수수료율 x 잔존기간 / 대출기간 * 예제: 1억을 대출기간 5년으로 빌려 90일 사용함 * 중도상환액: 100,000,000 * 중도상환수수료: 2%(0.02) * 대출기간: 5년(=365*5일) * 잔존기간: 365*5 - 90 (=대출기간 - 사용기간) * 중도상환수수료: 1,901,369 = 100000000 * 0.02 * (365*5-90)) / (365*5) ==== 집살때 ==== 1. 주변 상권이 괜찮나요?? 마트라던지 백화점, 문화시설 등 있나요? 2. 병원이 가깝나요? 3. 아이들이 있다면 학교, 교육시설 (학원, 유치원 등)이 괜찮나요? 4. 대중교통(버스)이 단지 정문에 있나요? 5. 공원 등 녹지시설은? 6. 주변에 공장이라던지 산업시설은 없나요? 7. 수도권 등 방문하기 위한 고속도로/고속터미널/기차역 등에 가기 쉽나요? 8.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물세는 곳은 없는지 등 ====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 ==== * 인플레이션(실물 > 화폐, 채무 > 채권) * 디플레이션(실물 < 화폐, 채무 < 채권) ==== 양육비 ====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6078 ||시기||년도||총양육비||누적양육비||월교육비||총교육비||누적교육비|| ||영유아기(0~2세)||2014||2466||2466||8||288||288|| ||유아기(3~5세)||2017||2937||5403||27||972||1260|| ||초등학생||2020||6300||11703||32||1152||2412|| ||중학생||2023||3535||15238||38||1368||3780|| ||고등학생||2026||4154||19392||50||1800||5580|| ||대학생||2030||6811||26203||64||3072||8652|| ==== 재무설계 ==== * http://csa.nps.or.kr/main.do --> 국민연금 노후설계 서비스 * 자녀의 교육비 지출은 소득의 20% 이내로 하는 게 좋다. (--[http://db.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030534911 출처]) attachment:자산관리/자산관리요약.png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531&contents_id=64438&series_id=2312 ==== 신연금저축 ====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oneycoach21&logNo=90167831796 --> 굉장히 자세한 설명 * 중요한 것은 퇴직연금 + 연금저축 = 400만원. 이것이 공제 한도라는 점. * 최저보증이율과 기간별 이율 확인 할 것 * 연금저축은 손해보험사, 연금보험은 생명보험사 종신, 연금보험 원금회복 * 연금보험 - 10~13%, 원금회복은 5~6년이 걸림. * 종신보험 - 20~25%, 원금회복은 10 ~ 12년이 걸림. * 연금저축, 연금보험 * 연금저축 - 소득공제, 중도해지시 소득공제액, 가산세 추징, 연금수령시 연금소득세 * 연금보험 - 연금수령시 연금소득세가 비과세, 가입기간 10년 이상 경과하면 중도해지시 세금 면제 ==== 은퇴 후 3대 생활비 - 각각 100만원씩 마련하라. ==== * 최저생활비 * 식료품을 사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필요한 돈과 같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기초비용 * 국민연금 * 필요생활비 * 외식비나 차량유지비와 같이 은퇴 이전의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 * 연금보험 * 여유생활비 * 여가·문화비 등 여유로운 생활을 위한 비용 * 연금펀드 ==== 부동산 투자 ==== * 오피스텔 * [http://blog.naver.com/yl0509/140201345290 오피스텔 매매시 체크해야 할 세금] * 매매시.. 역세권, 2룸 * 1억 오피스텔 매매시 소요비용(5년 보유 시) --맞는지 모르겠다. * 취득세(3.5%) = 350만원, 복비 90만원 = 440만원, 연간 88만원 * 연간 재산세 50만원(대충) * 연간 세입자 구할 때 복비 30만원 * 연간 도배비 10만원 * 연간 기타 수리비 20만원 * 1년에 관리비 약 200만원, 월세 50만원이면 연 400만원 수입, 1억 투자 4% 수익 ==== 수익형 부동산 ==== 출처: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1665725&memberNo=478443 * 유동 인구가 소비수준이 높아야 한다 * 시장 vs 청담동, 청담동에서 돈을 더 많이 쓴다 * 대한민국에서 소비를 주도하는 연령층은 2030 미혼 여성 * 대형 쇼핑몰 주변 상권은 피해야 할까? 아니다. 대형 쇼핑몰이 도저히 소화 못하는 업종(음주, 숙박)을 택하라. * 오피스텔 투자를 하지 마라 * 소형 아파트에 비해 관리비가 비싸다. * 전용면적이 좁다. * 세대수가 작아 자본수익이 보장되지 않는다. * 다가구주택&도시형 생활주택에 투자하지 마라 * 다가구 세입자 관리는 대단한 감정 노동 * 자본수익 역시 보장되지 않는다. * 재래시장 근처 재래상가에 투자하지 마라 * 인근의 소비 수준이 낮아 임대료 올리기 어렵다. * 자본수익 역시 보장되지 않는다. * 테마 상가에 투자하지 마라 * 한가지 테마만으로 소비자의 발길을 끄는 데 한계가 있다. * 복합 테마 상가에 투자할 땐 주의하라. * 유명한 복합 테마 상가는 분양 보단 임대를 한다. * 분양 하는 곳은 그다지 유망하지 않은 곳일 수도 있다는 것을 유념한다. * 아파트 상가에 투자할 때도 주의하라. * 세대 수와 평형 고려 * 주변에 대형 마트나 백화점이 있다면 투자를 피하즌 편이 안전하다. * 1만 세대 이상이라면 괜찮다. * 유치원생이나 초등생을 키우는 30대 부부가 주로 사는 20~30평형대 위주의 아파트 상가에 투자하라. * 주상복합 상가는 분양받지 마라 * 은퇴 준비에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 차라리 그냥 돈을 가지고 있어라 ==== 집/주거 관련 ==== * [http://board.realestate.daum.net/gaia/do/estate/knowHow/read?bbsId=knowhow&articleId=83516 전원주택 지을때 종류별 차이를 알고 접근하자] ==== 보험가입시에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 ==== 1. 회사의 재정건정성 2. 고객프라자(지점)가 주변에 얼마나 많이 있는지 여부 3. 적립보험료를 자유롭게 인출하여 활용가능한지 4. 납입한 보험료에서 적립되는 비율은 얼마나 되는지 5. 100세까지 탄탄하게 보장받을 수 있는지 6. 양심적인 설계사에게 설계받았는지 ==== 구글 광고 ==== {{{#!html }}} ==== 참고자료 ==== *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list.nhn?cid=2531&category_id=2531 놀부의 생활 금융 가이드] * [http://terms.naver.com/list.nhn?cid=42106&categoryId=42106 펀드투자 제대로 하자(네이버 책)]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519&cid=42086&categoryId=42086 잊지 말아야 할 은퇴설계의 6대 원칙] * http://terms.naver.com/list.nhn?cid=42108&categoryId=42108&so=st4.asc --> 네이버 책 * http://www.kcie.or.kr/vod/happy_concert_talk.html --> 행복한 자산 관리 콘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