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moniwiki/imgs/plugin/arrup.png)
![[+] [+]](/moniwiki/imgs/plugin/arrdown.png)
- 1 서문
- 2 열린 사고를 하라
전략적 사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 우리 앞에 어떤 가능성들이 있는가?
-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2 열린 사고를 하라 #
닫힌 생각, 열린 생각
- 기업이 실패한 원인은 사고에서 제압당했기 때문이다.
- 사람들은 너무 쉽게 경험이나 과거의 생각에 갇혀버린다.
- 첫 번째 생각이 만들어낸 틀에 갇히지 말아라.
- 과거의 성공보다 기술, 경험, 지식들을 적용해야 하는 사고의 과정에 집중해야 한다(?)
- 기업 구성원들의 사고 방식의 전환이 이루어지면 기업은 변할 수 있다.
- 질문이 중요하다.
- 좋은 질문이란 오랜 시간 생각해야 하는 질문을 의미하며 또한 사고를 자극해야 가능하다)
- 해답을 찾았을 때 자신에 대한 도전에서 이긴 듯한 느낌을 주는 질문이 좋은 질문이다.
- 실제로 적용하지 않으면서 이론에만 머물러 있는 것은 의미 없다.
패러다임, 창조적 사고의 방해물
- 패러다임이란 우리가 사물에 대해 사고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일련의 믿음이나 가설을 말한다.
- 패러다임의 가장 긍정적 역할은 복잡한 세상의 질서를 이해하는 방식과 질서를 찾는 방법을 제시해 준다. (사고 형성에 도움을 줌)
- 하나의 패러다임만으로만 현상과 사고를 올바르게 설명할 수 있으며, 다른 패러다임은 틀렸다고 생각하는 것은 문제다.
잘못된 것에서 해답 찾기
- 훌륭한 대답은 좀 더 깊이 있는 대답을 이끌어 낸다.
- 질문은 대략 두 가지 범주로 나뉠 수 있다.
- 대답을 스스로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보다 중요하는 것을 알게 된다.
- 하이데거는 사고를 질문과 동일시하고 있음.
-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기위해 애쓰는 과정
- 자신의 무지에 직면하고,
- 지식의 출발점에 서서 숙고하고,
- 의문을 갖고 해답을 찾는 훈련이 필요
- 질문은 새로운 사고를 만들어내는 것이어야 한다.
- 사고는 올바른 질문을 찾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 대답하는 과정에 몰두하면서 새로운 통찰력과 혁신적인 행동을 발견해야 한다.
- 전략
- 질문과 마주해 끝없이 탐하는 것이며, 사고하는 과정 중에 행동하는 훈련
- 사고 속에 빠져느는 것
- 사고를 자극하는 질문하는 것
- 질문을 찾는 노력을 하는 것
- 대답이 완전치 않다고 해도 단호하게 행동하는 것
질문하는 법 배우기
- 간단하게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이어야 함.
- 즉각적으로 가능한 한 가지 대답이 가능한 것어서는 안됨.
- 대답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도록 만드는 것
자신이 무엇을 묻고 있는지 파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