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운용 자금
2 1회 베팅 시 손실 규모
3 추세를 정의한다
4 진입가, 손절가 정한다
5 익절
6 베팅 규모
7 운용
8 누적 수익률
9 리스크 관리와 운용 자금 관리


작성 중..

1 운용 자금 #

  • 운용 자금의 크기는 중요치 않다. (그래도 최소 몇 백 만원은 되어야겠지)
  • 수익이 나서 운용 자금이 자신이 감당하기에 큰 금액이면 일부를 뺀다. (잠이 안 오고, 계속 생각나고, 불안한 마음이 들면 감당이 안되는 거다)
  • 큰 자금을 감당할 수 있게 트레이닝 되었다면 운용 자금을 늘린다.

2 1회 베팅 시 손실 규모 #

  • 1회 베팅 시 감당할 손실 규모를 정한다. 운용 자금의 2% 이하여야 한다.
  • 전체 베팅한 금액의 손실 규모는 운용 자금의 6% 이하여야 한다.(예: 1천 만원 자금으로 최대 6종목에 각각 1% 손실 규모로 투자)

3 추세를 정의한다 #

  • 명확하게 어떤 것이 추세인지 정의한다. (상승, 하락 모두 정의한다)
  • 눈으로 대충 보고 감으로 하면 안 된다. 정확히 계산될 수 있어야 한다.
  • 방법은 상관없지만 차트를 봤을 때, 누가 봐도 우상향 한다고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한다.

4 진입가, 손절가 정한다 #

  • 명확하게 추세를 정의했다면 추세를 추종하기 위해 진입가, 손절가를 정한다.
  • 진입, 손절의 정의도 각자 알아서 정한다. (크게 중요치 않다)
    • 진입은 주가가 오를 때가 좋다. 변동성이 줄어든 상태면 더욱 좋다.
    • 손절은 -20% 이내에서 잡는 것이 좋다. (승률이 낮아지지 않는 수준에서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손익비와 승률의 적절한 조합이 필요하다. 계산은 아래에서..)
  • 거래를 해야 돈을 벌 수 있으므로 적당한 진입가와 적당한 손절가를 정해야 한다.
  • 주식은 수없이 많다. 기다리면 나타난다. 원하는 공이 올 때만 베트를 휘두르면 된다. 투자에 삼진 아웃은 없다. --워렌 버핏

5 익절 #

  • 추세(위에서 정의한)를 캐치했다면 추세가 반대 방향으로 계산되기 전까지 홀딩하다가 추세가 반대가 되면 익절

이제부터가 핵심이다!!

6 베팅 규모 #

  • 위에서 정한 것들에서 계산하면 된다.
  • 예를 들어,
    • 운용자금이 1천만원이고, 1회 베팅시 손실 규모를 1%
    • 진입가 1000원, 손절가 950원(-5% 빠지면 손절, 얼마에 손절할지는 주가의 변동성을 보고 판단하면 된다)
    • 얼마나 배팅해야 하나?
    • 2백만원=10000000*0.01/0.05
      • 1회 베팅시 손실 규모와 손절을 얼마나 크게 잡느냐에 따라 베팅 금액이 계산된다. 즉, 리스크 관리가 된다.
      • 손절을 -10%로 했다면 베팅 금액이 1백 만원이 된다. 베팅 자산의 변동폭이 크면 작게 베팅하여 리스크를 관리한다.

7 운용 #

  • 주가가 오르면 추세를 따라 계속 가다가 추세가 반대 방향으로 꺽이면 매도(위에서 추세가 정의된 대로)
  • 어느 정도 올랐다면(손절금액의 2배 정도 또는 추세대 꼭대기에 왔다 싶으면) 1/2 매도 (옵션)
  • 1/2 매도 했으면 손절가를 진입가로 올린다. (옵션)
  • 나머지 1/2는 계속 추세를 추종하다가 추세가 꺽였다고 판단되면 매도해서 익절 (옵션)
  • 익절한 금액을 운용 자금에 포함시킨다. (위 예제에서 1천만원으로 시작했는데, 이번에 50만원 벌었다면 운용 자금은 1천 50만원이 되는 것이다)

규칙을 준수하기 위해 운용을 기계에 맞기는 게 좋다.
나의 전략을 프로그래밍하여 시스템화 하거나, 서버감시주문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8 누적 수익률 #

  • 원금*(1+수익)^(승률*N회)*(1-손실)^(패율*N회)
  • 계산 예제
    • 승률 40%
    • 패율 60%
    • 평균수익률 15%
    • 평균손실률 6%
    • 거래횟수 100회
    • 누적수익률 554%
  • 계산해보면 알겠지만, 손절폭을 너무 넓게 잡으면 수익률이 안 좋아진다.

9 리스크 관리와 운용 자금 관리 #

  • 리스크는 1회 베팅시 감당할 손절 규모다.
  • 변동성은 베팅하려는 주가의 움직에 따라 달라진다. 감당해야 할 리스크를 정했으므로 변동성이 높으면 진입가와 손절가의 범위를 넓히고, 투입할 자금의 규모를 줄이면 된다.
  • 익절하면 운용 자금을 늘어나고, 손절하면 운용 자금이 줄어드므로 자연스럽게 베팅 규모도 늘거나 줄어들게 된다.

리스크는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Retrieved from http://databaser.net/moniwiki/wiki.php/추세추종
last modified 2025-03-07 21:5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