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Poisson분포 [[TableOfContents]] ==== 정의 ==== * 2항분포에서 시행횟수(n)가 충분히 크고, 발생률(p)가 비교적 작운 경우, 2항분의 극한에서의 확률분포 * np <= 5가 되는 경우 잘 적합된다. * lmada의 값이 커짐에 따라 정규분포에 근사. * 다수의 시행에서 발생수가 극히 적게 일어나는 발생횟수의 분포에 적합 ==== 응용 ==== * 전화를 걸 때, 다른 전화번호에 연결될 횟수의 분포 * 보통 횡단보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수 *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알파 입자가 어떤 장소에 있을 수 * 왼손잡이 수 * 어느 공장에서 사고 발생건수 * 어느 기간중에 일어나는 지진의 발생횟수 * 생명보험계약자의 어느 일정기간 중의 사망자수 ==== 예제 ==== 불량률이 2%인 제품더미에서 임의로 100개를 추출할 때, 그 안에 불량품이 3개 이상 포함될 확률 {{{ > # dpois(x, lambda, log = FALSE), lamda = 시행횟수(n)*확률(p) > dpois(0:2, 2) [1] 0.1353353 0.2706706 0.2706706 > 1 - sum(dpois(0:2, 2)) [1] 0.3233236 > }}} 빵 100개를 만드는 데 건포도 1,000개를 섞기로 하였다. 빵 1개에 건포도가 10 ~ 15개 포함될 확률 {{{ > sum(dpois(10:15, 1000/100)) [1] 0.4933299 > }}} 왼손잡이의 비율을 1/10이라 할 때, 10명 가운데 왼손잡이가 1명 이상 있을 확률 {{{ > 1 - dpois(0, 10 * 1/10) [1] 0.6321206 > }}} 무작위하게 250명을 선출 했을 때, 1월 1일에 출상한 사람이 꼭 k명일 확률을 구하려 한다. 250명 중 1월 1일에 태어난 사람이 4명일 확률(250에 비해 1/365는 작은수, Poisson분포다) {{{ > dpois(0:4, 250 * 1/365)[4] [1] 0.02699779 > }}} 어느 장소의 공중전화는 1일에 평균 5회 사용된다. 1일의 사용횟수 X가 Poisson 분포를 따를 때,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라. 또 1회도 사용 안될 확률을 구하라 {{{ > #Poisson 분포에서는 평균 = 분산이고, 평균=5 이므로.. > sqrt(5) [1] 2.236068 > #1회도 사용 안될 확률 > dpois(0, 5) [1] 0.006737947 > }}} 어느 공장에서 N=100 일간에 사고의 발생건수를 조사하니 다음 표와 같았다. 1일 사고 건수 x가 Poisson 분포에 잘 적합되는지를 살펴라. ||1일 사고건수x||일 수f|| ||0||53|| ||1||31|| ||2||12|| ||3||2|| ||4||1|| ||5||1|| ||6||0|| {{{ > #평균 > lamda <- (0*53 + 1*31 + 2*12 + 3*2 + 4*1 + 5*1 + 6*0) / 100 > lamda [1] 0.7 > #확률 > dpois(0:6, lamda) [1] 4.965853e-01 3.476097e-01 1.216634e-01 2.838813e-02 4.967922e-03 6.955091e-04 8.114273e-05 > #기대도수 > dpois(0:6, lamda)[1] * 100 [1] 49.65853 > dpois(0:6, lamda)[2] * 100 [1] 34.76097 > dpois(0:6, lamda)[3] * 100 [1] 12.16634 > dpois(0:6, lamda)[4] * 100 [1] 2.838813 > dpois(0:6, lamda)[5] * 100 [1] 0.4967922 > dpois(0:6, lamda)[6] * 100 [1] 0.06955091 > }}} 발생일수 f와 기대도수의 차가 작다. Poisson 분퐁 잘 적합하고 있다. 어느 서비스계에 평균 한 시간에 손님이 2명 도착한다. 30분간 2명 도착할 확률을 구하고, 30분간에 한 사람도 도착하지 않을 확률을 구하여라. 여기서 이러한 손님을 '''Poission 도착'''(대기행렬이론에서 시간간격 t에 n명이 어떤 서비스계에 도착할 확률)이라 한다. {{{ > lamda <- 2 * 30/60 > dpois(0, lamda) [1] 0.3678794 }}}